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 시작합니다. <br> <br>외교안보국제부 김범석 차장입니다. <br> <br>Q1. IAEA가 공개한 후쿠시마 제1원전의 오염수 해양 방류와 관련한 최종 보고서, 괜찮다는 것 같은데 근거도 나왔나요?<br> <br>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이 전달한 최종 보고서 내용을 한마디로 요약하면, 문제 없다입니다. <br> <br> 일본이 향후 수십 년간 알프스, 즉 다핵종제거설비에서 처리한 오염수를 방류하는 것은 IAEA의 국제 기준과 일치한다고 했고, 방류에 따른 인체, 환경적 방사능 영향은 미미하다는 겁니다. <br><br> IAEA가 2년간 평가를 한 결과인데 이미 6차례의 중간 보고서에서 긍정 평가들이 많아 최종 결론도 짐작한 대로 나왔습니다. <br><br>Q2. 일본은 그래서 오염수 방류를 언제 하는 건가요.<br> <br> 모든 준비를 마쳤기 때문에 지금 이 시간 이후 방류를 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. <br> <br> 공식적으로는 이번 여름 내에 방류를 한다고 이미 발표도 했습니다. <br> <br> 다만 다음 주 아세안지역안보포럼, 나토 정상회의 등 굵직한 외교 일정들이 있는데 일본 측이 각국에 방류 관련 사전 작업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 외교 일정들이 끝난 이달 말이나 8월 초 중반쯤 실제 방류가 시작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.<br><br>Q3. 우리가 가장 궁금한 것은, 오염수가 방류되면 우리나라 바다와 우리 해산물이 안전한지 아닐까요.<br> <br> 후쿠시마 앞바다에 있는 어류들이 우리 근해로 넘어올 가능성에 대해선 정부 설명부터 들어보시죠. <br><br>[우동식 /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장] <br>"후쿠시마 앞 연안에 정착해 사는 우럭이 태평양과 또 대한해협의 거센 물결과 깊은 바다를 헤치고 우리 바다까지 1,000km 이상을 유영해 온다는 것은 어류 생태학적으로 불가능한 이야기입니다."<br> <br> 연안 정착성 어종은 우리나라로 건너올 수가 없다는 뜻입니다. <br> <br> 먼 거리를 이동하는 회유성 어종의 경우 고등어와 갈치, 참조기, 멸치 등이 있는데요.<br> <br> 우리 어선이 잡는 어종과 일본의 태평양산 어종은 분리돼 있어 유입되지 않는다고 합니다. <br><br>또 오염수가 우리 근해에 언제 유입될지도 초미의 관심인데요, <br><br>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이 분석한 모의실험을 보겠습니다. <br> <br> 해류 흐름을 따르면 태평양을 돌아 4~5년 뒤 우리 바다로 유입된다는 분석입니다.<br> <br> 그런데 10년이 지나면 삼중수소 농도는 약 10만 분의 1 수준인 톤당 0.001Bq 전후. 그러니까 아주 미미한 수준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해석입니다. <br><br>[조양기 / 서울대 해양연구소 소장] <br>"현재 우리나라 주변에 세슘이든 삼중수소든 존재한다고 했잖아요. 세슘은 1% 삼중수소는 1000분의 1% 변화는 있을 수 있습니다." <br><br>Q4. 그래도 여전히 불안감은 가시지 않습니다. IAEA를 믿을 수 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죠.<br> <br>지난달 후쿠시마 원전 앞바다에서 잡힌 우럭에서 기준치 180배인 방사성 세슘이 검출됐다는 소식에 불안감이 다시 커지기도 했죠. <br> <br> 수백 개의 샘플 조사에서 1마리 나온 것이긴 하지만 검출된 것은 사실입니다. <br> <br> 방류를 앞두고 우리 수산 시장은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.<br><br>[김명철 / 부산 자갈치 시장 어민] <br>"우리나라는 사방이 바다 아닙니까. (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) 오래 전에 미국이 일본에 원자폭탄 터트린 것이나 똑같은 겁니다. 수산업에 하는 사람들은 바로 죽음입니다."<br><br> IAEA가 일본 눈치를 보고 방류를 허용했다는 주장도 나옵니다. <br> <br> 이에 대해 "IAEA가 분담금을 훨씬 많이 내는 중국 눈치를 더 보지 않겠냐"며 반박하는 전문가도 있습니다. <br><br>Q5. 오염수 방류 다음은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규제 철폐 얘기도 나옵니다. <br><br>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수입 규제 조치를 취한 곳은 50개국이 넘었지만 현재는 한국 중국 대만 등 12곳만 남았습니다. <br> <br> 2년 전 미국에 이어 EU까지 규제 철폐를 추진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압박받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는데요, <br> <br> 이에 대해 정부 고위 관계자는 채널A와의 통화에서 "수산물 수입 규제 철폐는 있을 수 없는 일"이라고 못 박았습니다. <br> <br>일본에도 '수산물 이야기는 꺼내지 말라'고 단호하게 이야기했다"고도 전했습니다. <br><br>Q6. IAEA 사무총장이 우리나라에도 온다죠 어떤 의미일까요. <br><br> 7일에 방한하는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박진 외교부장관 등을 만나고 기자회견도 준비 중입니다. <br> <br>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관점에서 안정성을 검증하겠다는 우리 정부로서는 그로시 사무총장의 입으로 후쿠시마 오염수 상황을 우리 국민에게 설명하고, 더 이상 정치적 이슈화 되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. <br><br>아는기자 김범석 차장이었습니다.